반응형
신용등급을 조회하려면 아래와 같은 방법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보통 **신용평가사(KCB, NICE)**를 통해 확인하게 됩니다.
✅ 무료 신용등급 조회 방법
1. 토스 (Toss) 앱
- 장점: 무료로 신용점수 및 등급 조회 가능 (KCB, NICE 선택 가능)
- 방법:
- 앱 설치 → 로그인 → [전체] → [내 신용점수]에서 확인
2. 카카오페이
- 장점: KCB 기반 신용점수 확인 가능
- 방법:
- 카카오페이 → ‘내 신용점수’ 메뉴 선택 → 본인 인증 후 확인
3. 네이버페이 / PASS 앱
- 네이버페이: ‘내 신용정보’ 메뉴 제공
- PASS(통신사 앱): KCB 기준으로 조회 가능
4. KCB 올크레딧 (www.allcredit.co.kr)
- 연 3회 무료 조회 제공 (회원가입 필요)
5. NICE 지키미 (www.credit.co.kr)
- NICE 기준 신용점수 확인 가능
- 비회원은 유료 / 회원가입 후 이벤트나 연 1회 무료 조회 제공
📌 신용등급 vs 신용점수
항목설명
신용등급 | 1~10등급 (과거 방식, 현재 폐지) |
신용점수 | 1~1000점 사이, 현재는 점수 기준으로 등급 구분 없이 사용 |
⚠️ 조회 시 유의사항
- 본인 조회는 신용점수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 금융회사(대출/카드사)가 조회하면 점수에 영향 있을 수 있음
반응형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보험 조회하기, 숨은 보험금(미청구보험금) (0) | 2025.06.26 |
---|---|
잠자는 내 돈 찾기, 금융감독원 ‘파인(FINE)’ 포털 (0) | 2025.06.26 |
대선 이후 노인복지 혜택, 기초 연금 40만원으로 인상 (0) | 2025.06.24 |
프리랜서도 꼭 알아야 하는 부가세 신고 (0) | 2025.06.18 |
프리랜서 사업자 등록 절차 (0) | 2025.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