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홍콩 출신 아티스트 카싱 렁(Kasing Lung)이 디자인한 '라부부(LABUBU)', 경제수익, 블랙핑크 리사

위스덤키 2025. 7. 31. 20:09
반응형

 

🌟 라부부란?

 

  • 둥글고 복슬복슬한 몸체, 토끼처럼 긴 귀와 큰 눈, 9개의 날카로운 이빨로 익살스러운 인상을 주는 캐릭터입니다. 귀여우면서도 요염한 개구쟁이 매력을 갖고 있어요 
  • 더 몬스터스(The Monsters) 시리즈의 주인공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호기심 많고 장난을 좋아하는 성격을 지닌 ‘몬스터 요정 소녀’로 알려져 있어요 

“라부부(LABUBU)”는 홍콩 출신 아티스트 **카싱 렁(Kasing Lung)**이 디자인한 몬스터 요정 캐릭터로, 중국 기반 장난감 기업 **팝마트(Pop Mart)https://popmart.co.kr/**를 통해 2019년부터 블라인드 박스 형태로 전 세계에 판매되고 있어요 


카싱 렁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kasinglung/
@kasinglung

 

 

🔥 인기 비결

  1. 셀럽 바이럴 효과
    블랙핑크의 리사가 인스타그램에 가방에 라부부 키링을 단 사진을 공유하면서 글로벌 주목을 받았고, 리한나, 킴 카다시안, 두아 리파 등 유명인들도 사용하며 인기를 견인했어요 
  2. 블라인드 박스 전략
    어떤 디자인이 나올지 모르는 블라인드 박스로 판매되며, 희귀 시크릿 피규어 확률까지 결합돼 반복 구매 욕구를 자극합니다. 기본 가격은 개당 2~3만 원대이며, 세트 구매시 할인도 제공돼요 
  3. 희소성과 리셀 문화
    한정판이나 시크릿 디자인은 경매에서 수백만 원~수억 원에 거래될 만큼 희소성과 수집 가치가 높습니다 
  4. 패션 소품으로 활용 가능
    단순 장난감이 아니라 백참, 키링, 액세서리로 활용 가능해 일상 스타일링에 다양하게 녹아들었습니다 

💬 최근 이슈

  • 일부 네티즌들이 라부부 캐릭터가 바빌로니아 신화의 악마 ‘파주주(Pazuzu)’를 연상시킨다며 음모론을 제기하고, 인형 훼손 영상도 등장했지만, 이는 단순 루머로 보입니다 
  • 중국에서는 짝퉁 제품도 많이 유통되며, 법적·품질 문제로 단속이 진행 중이에요

✅ 요약

항목내용
디자인 토끼 귀, 복실한 몸, 익살스러운 얼굴과 9개의 이빨
판매 방식 팝마트 블라인드 박스 (무작위·시크릿 포함)
인기 요인 K‑팝 셀럽 사용, 인스타 바이럴, 희소성, 스타일 소품화
국제적 인기 전 세계 Z세대와 수집가층의 사랑을 받음
주의사항 짝퉁 주의, 음모론은 루머로 간주됨

 

라부부(LABUBU)는 단순한 장난감을 넘어, 수집 문화·셀럽 마케팅·리셀 시장이 결합된 강력한 경제 수익 모델을 가지고 있어요. 아래에서 ‘라부부가 창출하는 경제 수익 구조’를 정리해 드릴게요.


💰 1. 팝마트(Pop Mart)의 기업 수익

항목수치 (2023년 기준)
연매출 약 1조 원 (RMB 66억 위안)
순이익 약 1,000억 원 이상 (RMB 8억 위안)
라부부 기여도 팝마트 대표 캐릭터로 전체 수익의 약 30~40% 이상 기여 추정
수출 시장 한국, 일본, 미국, 동남아 등 글로벌 매출 비중 확대 중
 

출처: Pop Mart 공식 보고서, 블룸버그 차이나, 2023 재무 보고


🔄 2. 리셀(재판매) 시장 수익

라부부 인형은 희소성, 블라인드 박스, 시크릿 모델로 인해 리셀 시장이 매우 활성화돼 있어요.

항목예시 가격
일반 피규어 1개당 2~3만 원
시크릿 피규어 1개당 30만~300만 원
한정판 라부부 최대 수백만 원 이상
인기 리셀 플랫폼 번개장터, 크림(KREAM), 중고나라, 샵팬텀, 타오바오 등
 

예:

  • 2023년 한정판 ‘레이디 라부부’는 원가 약 3만 원 → 리셀가 80만 원 이상
  • 리미티드 에디션 박스 세트(12개)는 출시 당일 품절 → 리셀가 약 5배 상승

📈 3. 소비자 행동과 반복 구매 유도

  • 블라인드 박스: 어떤 디자인이 나올지 모르게 판매해 ‘도박성 소비’ 유도
  • 컬렉션 심리 자극: 전체 세트 완성을 위한 반복 구매 → 12개 중 시크릿 1개 확률 약 1/144
  • 중복 피규어 교환 문화도 커뮤니티 기반 거래로 활성화됨

🧠 4. 부가 수익 구조

영역예시 수익 모델
IP 협업 카카오프렌즈, 디즈니, BTS 콜라보 등
패션·뷰티 굿즈 키링, 가방, 쿠션, 마스크팩, 아트프린트 등
전시/이벤트 팝업스토어, 글로벌 전시 → 티켓 판매 + 굿즈 수익
NFT·디지털 캐릭터 일부 라부부 아트 NFT 시도도 진행 중 (비공식 포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