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

2025년 예술인 지원금 제도

위스덤키 2025. 6. 18. 12:02
반응형

예술인이라면 꼭 알아야 할 정부 및 지자체의 예술인 지원금 제도는 다양합니다.
 


🎨 2025년 예술인 지원금 제도 개요

✅ 예술인 정의 (기본 자격)

「예술인 복지법」상 예술인이란:

예술을 창작, 실연, 기획, 연출 등으로 활동하여 수입을 얻는 사람
예: 미술가, 디자이너, 예술 교육가, 작가, 영상 제작자 등

→ **“예술활동증명”**을 통해 자격을 인정받으면 대부분의 제도 이용 가능


🏛️ 주요 예술인 지원 제도 (국가/공공)

1. 🎯 예술활동증명 (기초 자격 등록)

  •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사이트에서 신청
  • 본인의 예술 활동을 증명하면 각종 복지제도 이용 가능
  • 제출물: 활동 이력서, 작품 포트폴리오, SNS/언론 노출 등

🔗 예술인복지재단 예술활동증명 바로가기


2. 💸 창작준비금 지원 (연 1~2회)

  • 예술인에게 1인당 100~200만 원 지급
  • 용도: 창작 준비, 자료 수집, 교육 수강, 장비 구입 등
  • 신청 조건:
    • 예술활동증명 완료자
    • 건강보험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최근 완화 추세)
  • 보통 상반기 / 하반기 접수

3. 🏠 예술인 창작지원금 (프로젝트성 지원)

  • 문화체육관광부, 지자체, 예술진흥원 등에서 공모
  • 예시:
    • 지역 기반 예술 창작 지원 (예: 경기문화재단, 서울문화재단)
    • 온라인 콘텐츠형 예술 제작비 지원
    • 커뮤니티 연계형 프로젝트 지원

4. 🧾 예술인 고용보험 + 창작활동수당

  • 2022년부터 적용 시작
  • 고용보험 가입 시, 실직 또는 창작 단절 시 창작활동수당 신청 가능
  • 자발적 실업에도 일정 조건 충족 시 수당 가능

5. 🧘‍♀️ 예술인 심리상담/의료비/산재 지원

  • 예술인 심리치유, 의료비 지원, 재해 보상제도 있음
  • 창작 중 사고/질병도 일정 조건 하에 산재 보상 가능

🏢 지방자치단체 지원금 제도

거주 지역 기반으로 추가 지원금 공모도 활발합니다:

지역주요 제도 예시
서울 예술창작지원, 예술인기본소득 실험사업
경기 경기도 예술인 창작지원, 창작공간 대관 지원 등
전남·부산 등 레지던시 프로그램, 지역 콘텐츠 제작비 지원 등
 

📌 “OO문화재단” 검색 + “공모” 키워드로 수시 확인 추천

 

반응형